빈곤층 먹거리 부담 악화…엥겔계수 6년來 최고
소득 하위 20% 의식주 부담은 2002년 이후 최악
연합뉴스 김용래 입력 2012.03.12 04:57 수정 2012.03.12 09:43
작년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엥겔계수는 20.7%로 2005년 이후 가장 높았다. 2005년에도 1분위의 엥겔계수는 20.7%였다. 전체 가구의 엥겔계수 역시 작년 14.18%로 2005년(14.61%) 이후 최고치다. 2006년 20.08%, 2007년 20.16%, 2008년 20.11%, 2009년 19.98%, 2010년 20.47%로 최근 3년간 증가 추세에 있다. 하위 20~40% 계층인 2분위가 15.76%, 하위 40~60%인 3분위가 14.40%, 상위 20~40%인 4분위가 13.16%, 상위 20%인 5분위가 11.83%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낮다. 고소득층보다 그만큼 크다는 뜻이다. 1분위는 의식주 필수 항목에 대한 지출 비중이 작년에 최근 9년 중 가장 높았다.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13%로 상위 20% 계층인 5분위의 31.62%보다 13.51%나 높았다. 2007년 43.4%, 2008년 42.95%, 2009년 43.32%, 2010년 44.36%다. 지난해 주택·수도·전기·연료 물가도 4.5%로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식품 물가가 크게 올라 저소득층 가구의 엥겔계수가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엥겔계수는 소비지출 중에 식료품과 비주류음료가 차지하는 비율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연도별 1분위 엥겔계수는
지난해 소득계층별 엥겔계수는
1분위의 엥겔계수가 5분위보다 2배가량 높은 것은 저소득층의 먹거리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저소득층은 소비지출의 절대규모가 작아서 생활물가가 오르면 엥겔계수도 큰 폭으로 오른다.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의식주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크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의류·신발, 주거·수도·광열, 가정용품·가사서비스가
1분위의 의식주 항목에 대한 지출 비중은 2003년 42.96%, 2004년 42.51%, 2005년 42.47%, 2006년 43.17%,
1분위의 의식주 부담이 커진 것은 식료품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작년에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가 전년도보다 8.1%나 올라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 4.0%의 두 배를 넘었다.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BBK 대표이사’ 명함 또 나왔다” (0) | 2012.03.13 |
---|---|
"靑행정관이 '다 죽자는 거냐'며 만류했다" (0) | 2012.03.13 |
멈춘 크레인 텅빈 도크… 상처뿐인 조선1번지 (0) | 2012.03.07 |
MB 방송통제 4년간 쌓였던 ‘왜곡·편파 보도’에 폭발 (0) | 2012.03.07 |
"01X 버텨봤자 돈 안돼요" (0) | 201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