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관

땅 위로 고개 내미는 봄나물 퍼레이드

기산(箕山) 2008. 4. 18. 03:35

땅 위로 고개 내미는 봄나물 퍼레이드

 


엄나무/

어린잎을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거나 쌈으로 먹는다.

약간 버터 맛이 나면서 씁쓰레하지만 향미가 뛰어나다.

민가에서는 엄나무 가지를 방문위에 걸어서 액운이나 호랑이 침입을 막기도 했다.

 

 

 

곰취/

잎 모양이 곰 발바닥을 닮았다고 해서 곰취다. 깊은 심산에서 자란다.

묵나물로 먹기보다 주로 쌈으로 먹는다. 향취가 뛰어나다.

 

참나물/

나물중의 나물, 참나물이다.

식당에서 흔하게 나오는 참나물은 온실에서 재배된 것으로 그 맛과 향은 자연산이나 노지에서

자란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줄기는 영락없이 미나리처럼 생겼다.

 

잔대/ 줄기와 잎은 나물로 먹는다.

 

 

곤드레/

다른 이름으로 ‘고려엉겅퀴’ 다.

대표적인 구황식품으로 그 당시에는 곤드레 밥도 못해먹을 형편이어서 곤드레 죽을 끓여 먹었다.

맛이 부드럽고 은은한 향취가 난다. 많이 먹어도 탈이 없는 게 특징이다.

강원도 정선과 평창지역에서 주로 먹었다.

곤드레 밥과 나물로 먹지만 장아찌는 사강사강 씹히는 식감이 뛰어나다.

 

 

원추리/ 나물 중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자란다. 어린순을 따서 나물로 무쳐먹는다.

 

 

 

산부추/ 노지부추보다 질기지만 향취는 더하다. 뿌리 부분은 쪽파를 닮았다.

 

돌나물/

식당에서는 천편일률적으로 돌나물 위에 초장이 끼얹어져서 나오는데 참 성의 없어 보인다.

물김치로 담가먹기도 한다. 풋풋한 향미가 난다.

 

 

누룩치/

누리대라고도 한다. 귀족 산채라 할 정도로 독특한 향취가 압권이다.

가격도 다른 산채에 비해 쎈 편이다. 누룩l와 닮은 독초도 있으니 유의해서 먹어야 한다.

독초와 가장 손쉬운 구별법은 가지를 꺾어 봐서 하얀 액이 나오면 식용가능하나

금방 검어지면 미련 없이 포기해야 한다.

 

다른 지역에서 자라는 누룩치

 

 

 

명이나물/

산마늘이다.

채소가 귀한 울릉도에서 명이나물로 김치를 담가 명을 이었다 해서 명이나물이라 한다.

김치나 쌈, 장아찌로 먹는다.

 

엉겅퀴/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나 어린잎은 국을 끓여 먹는다.

 

파드득/ 반디나물이라고 한다. 시원한 맛이 특징이다.

 

달래/ 따로 설명이 필요 없는 나물이다.

 

 

냉이/ 냉이 된장국 끓일 때 신 김치를 조금 썰어서 넣으면 맛이 특별해진다.

 

 

당귀/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고 잎은 쌈으로 먹는다.

당귀로 쌈을 먹고 나서 물을 마시면 물이 달 정도다.

 

'사진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하와이  (0) 2008.04.20
아름다운 경치  (0) 2008.04.18
큰괭이밥  (0) 2008.04.04
타프롬[Ta Prohm]사원  (0) 2008.01.13
사인암(舍人岩)  (0) 2008.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