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관

Why & How

기산(箕山) 2007. 6. 28. 03:33

 

환경미화원으로 일하는 아저씨가 있었다.

이른 새벽부터 악취와 먼지를 뒤집어쓴 채

쓰레기통을 치우고 거리를 청소하는 일을 평생 해온 사람이었다.
누가 봐도 쉽지 않은 일에다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직업도 아니고,

그렇다고 월급이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표정이 늘 밝다는 점이다.
하루는 그 점을 궁금하게 여기던 한 젊은이가 이유를 물었다.
힘들지 않으시냐고.

어떻게 항상 그렇게 행복한 표정을 지을 수 있느냐고.
젊은이의 질문에 대한 환경미화원의 답이 걸작이었다.

“나는 지금 지구의 한 모퉁이를 청소하고 있다네!”

이것이 바로 행복한 사람이 갖고 있는 프레임이다.

이 환경미화원 아저씨는 자신의 일을 ‘돈벌이’나 ‘거리 청소’가 아니라

‘지구를 청소하는 일’로 프레임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구를 청소하고 있다는 프레임은 단순한 돈벌이나
거리 청소의 프레임보다는 훨씬 상위 수준이고 의미 중심의 프레임이다.
행복한 사람은 바로 이런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그렇다면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 프레임을 나누는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상위 프레임에서는 ‘Why’를 묻지만 하위 프레임에서는 ‘How’를 묻는다.

상위 프레임은 왜 이 일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의미, 목표를 묻는다.

비전을 묻고 이상을 세운다.

그러나 하위 수준의 프레임에서는 그 일을 하기가 쉬운지 어려운지,

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등 구체적인 절차부터 묻는다.

따라서 상위 프레임을 갖는 사람은 No보다는 Yes라는 대답을 자주 하고,

하위 레임을 가진 사람은 Yes보다는 No라는 대답을 많이 한다.

상위 수준의 프레임이야말로 우리가 죽는 순간까지 견지해야 할 삶의 태도이며,

자손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위대한 유산이다.

자녀들의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보도록 할 수만 있다면,

거액의 재산을 남겨주지 않아도 험한 세상을
거뜬히 이기도고 남을 훌륭한 유산을 물려주는 것과 다름없다.




'인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라 원프리  (0) 2007.07.01
당신은 누구시기에  (0) 2007.07.01
사람을 얻는 기술  (0) 2007.06.26
식자우환  (0) 2007.06.24
우물에 빠진 당나귀 처럼...  (0) 2007.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