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그림 같은 사진 만들기 이번에는 이미지 에디터가 제공하는 각종 필터를 이용해 분위기가 색다른 사진을 만들어보자. 필터를 잘만 활용하면 마음에 안 들거나 잘못 촬영한 사진도 얼마든지 좋은 사진으로 만들 수 있다. 포토샵 엘리먼츠는 상당히 다양한 필터를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간단하게 수채화로 그린 듯한 효과와 컬러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꾸는 방법만 소개한다. * 컬러를 흑백으로 만들기 언제나 화려한 컬러 사진이 좋은 건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흑백 사진이 더 어울릴 때가 있다. 컬러로 촬영한 사진을 흑백으로 만들려면 이미지 에디터에서 색상 모드를 변경하거나 색상값을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만 거치면 된다. 1. 작업할 이미지를 불러온 후 메뉴에서 '이미지→모드→회색 음영'을 선택한다. 밝기 레벨이나 대비를 조정한 후 작업하면 보다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 2. 이미지가 바로 256 그레이 모드의 흑백 이미지로 바뀌면 메뉴에서 '확장→변경'을 선택한다 ![]() 3. '변경' 창이 열리면 현재 이미지의 상태와 함께 밝기를 조절했을 때의 샘플 이미지들이 나타난다. 오른 쪽 상단의 조절 버튼으로 적당하게 조절한 후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고 '승인' 버튼을 누른다. ![]() 4. 이번에는 색상 채널 값을 변경해 이미지를 색다른 분위기로 고쳐보자. 컬러의 원본 이미지를 열고 메뉴에서 '확장→변경'을 선택한다. ![]() 5. '변경' 창이 열리면 현재의 이미지 상태와 함께 색상 채널이 추가된 후의 상태가 나타난다.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서 각 색상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만든 후 '승인'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 * 수채화 같은 사진 만들기 이번에는 필터를 활용해 마치 수채화로 그린 것 같은 효과를 만들어보자. 촬영할 때 초점이 맞지 않아 피사체가 선명하지 않지만 어떻게든 꼭 보관하고 싶은 사진이 있다면 이처럼 색다르게 바꿔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6. 작업할 이미지를 불러온 후 메뉴 바에서 '필터→예술효과→수채화 효과'를 선택한 후 오른쪽 상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한다. ![]() 7. 화면에 수채화 효과 작업 창이 뜨면서 '브러시 세부', '음영 강도', '텍스처' 등의 항목이 나타난다. 이 때 미리 보기 화면 하단의 '-'나 '+' 버튼을 선택하면 필터를 적용한 후의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해 확인할 수 있다. 사진처럼 섬세한 수채화 효과를 원한다면 '브러시 세부' 항목의 숫자를 크게 지정하면 된다. 반대로 거친 입자의 수채화 효과를 원하면 숫자를 낮게 지정한다. 원하는 스타일로 설정한 후 '승인' 버튼을 누른다. ![]() 8. 필터를 적용하는 데에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한데, 이 시간은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필터 작업이 완료되면 수채화처럼 바뀐 이미지가 나타난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Ctrl+Z 키를 눌러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작업한다. ![]() Part 4. 파노라마 이미지 만들기 이번에는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없는 넓은 풍경을 몇 장의 사진으로 나누어 촬영한 후 다시 연결해 파노라마 사진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려면 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삼각대가 필요다. 사진을 촬영할 때 전체 사진 영역을 약 10% 정도씩 중복해 촬영하는 것이 나중에 이미지를 연결하기가 더 수월하다. 또 카메라 렌즈가 이동하면 노출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미지를 매끄럽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노출 보정을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한 장면을 여러 장씩 촬영해 두는 것이 좋다. 1. 메뉴에서 '파일→Photomerge'를 선택한다. ![]() 2. 창이 열리면 '추가' 버튼을 누른다. ![]() 3. 파노라마 사진으로 만들 이미지 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폴더로 이동한 후 이미지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파일을 하나씩 클릭해 원하는 파일을 모두 선택한다. 파일을 모두 선택한 후에는 '열기' 버튼을 누른다. ![]() 4. 'Photomerge' 창으로 되돌아오면 선택한 소스 파일의 목록과 함께 화면 하단에 설정값 변경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자동으로 선택한 이미지의 경계를 찾아 연결해 주는 '소스 이미지 자동 정돈 시도' 항목을 클릭한다. 만약 자동 정돈에 실패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정렬해 주어야 한다. '원근법 적용' 항목을 선택하면 조합한 이미지에서 원근이 자동으로 적용되므로 보다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미지의 크기가 2MB 이상 되면 '이미지 크기'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50% 축소한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승인' 버튼을 클릭한다. ![]() 5. 자동 이미지 정돈이 성공하면 화면에 연결된 이미지가 나타난다. 만약 실패하면 화면 상단의 라이트 상자에 있는 작은 이미지들을 마우스로 드래그해 하단 메인 창으로 옮긴 후 이미지가 중복되는 부분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연결한다. 그리고 나서 오른쪽의 네비게이터에서 빨간색 사각형 프레임을 이용해 화면 위치를 잡는다. ![]() 6. 연결된 이미지 간의 밝기나 색상 차이를 좀더 자연스럽게 조정하려면 오른쪽의 '콤포지션 설정값'에서 '고급 혼합'을 선택한 후 '미리 보기'를 클릭한다. 변경한 이미지가 마음에 들면 '승인' 버튼을 누른다. ![]() 7. 작업이 끝나면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잘라내고 마무리한다. 도구상자에서 '사각형 선택 윤곽 도구'를 선택한다. ![]() 8. 잘라낼 이미지 영역을 지정하고, 메뉴에서 '이미지→자르기'를 선택한다. ![]() 9. 드디어 여러 장의 사진이 연결된 파노라마 이미지가 탄생했다. 마지막으로 작업한 이미지를 저장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 |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에 글 올리기 (0) | 2007.04.07 |
---|---|
핸드폰 사진 전송 (0) | 2007.04.07 |
시속 574.8Km 열차 (0) | 2007.04.06 |
Window XP, -60- (0) | 2007.04.06 |
MS 페인트로 그린 모나리자 (0) | 2007.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