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376277
떡값 424만원에 선물까지 '어마어마'...
국회의원 추석 풍경
입력 2024.09.15 19:09 수정 2024.09.15 19:54
명절만 되면 의원 회관에 쌓이는 선물 상자들
직장인 평균보다 5배 높은 '추석 떡값'에'
'선물 특수'까지 누리는 의원들에 따가운 눈초리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입구 로비에 추석 선물 택배 상자가 가득 쌓여 있다.
/ 사진=연합뉴스
"명절 휴가비가 들어왔네요.
국회의원이라는 하나의 이유만으로
여러 명목의 소중한 혈세가
날짜 되면 따박따박 들어오는데,
참 마음이 무겁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12일,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양심고백을 하듯
명절 휴가비를 받을 사실을 알렸습니다.
22대 국회의원 300명이 받은
추석 명절 휴가비는 424만 7940원이었습니다.
인크루트가 조사한 직장인 평균 추석 상여금이
약 84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5배가량 높은 금액입니다.
김 의원은
의원들이 일도 제대로 하지 않는데,
명절 휴가비까지 챙긴다고 국민들이 생각하지 않겠냐며,
명절 휴가비를 받고 속이 답답해졌다는
고백 아닌 고백을 했습니다.
국민들이 보기에
의원들이 일하거나 말거나, 의원들이 누리는
'명절 혜택'(?)은 또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국회의원실로 쏟아져 들어오는
추석 선물입니다.
사무실에 쌓이는 선물들 덕에
국회의원실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그 어떤 사무실보다
더 바쁜 며칠을 보냈습니다.
의원들은
각자 하나 또는 두 개의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하는데,
각 상임위가 관할하는 관계부처나 이해관계가 있는 기업이
적게는 십여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에 달합니다.
선물이 너무 많다 보니
국회 의원회관 1층 택배 보관소에는 명절 선물을
각 의원실에 전달하기 위한 직원이 배치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8일 국회 사무처가
각 의원실에 발송한 '명절 택배 물품 안내 직원 배치 안내'
공문에 따르면,
사무처는 택배 물품 집중 배송에 따른 혼잡을 예방하고
택배 분실 등의 민원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9일부터 13일까지 안내 직원 2명을 배치했습니다.
명절을 앞둔 며칠 동안
회관 안에선 이 선물들을 한꺼번에 나르기 위한
'수레'가 곳곳에서 바쁘게 이동하고 있었습니다.
의원들에게 들어가는 선물인 만큼,
일반 서민들은 구매가 부담스러운 고가의 선물도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유명한 특산품이 있는 곳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은
같은 당 의원들에게 특산품을 선물하기도 했습니다.
의원들이 받는 상여금과 '명절 선물 특수'는
매년 설과 추석마다 반복되온 풍경입니다.
그리고 여기엔 언제나 비판의 눈초리가 따랐습니다.
의원들이 받는 많은 돈과 선물 그 자체보다,
'일도 안 하고 싸우기만 하면서...'라는
국민들의 시선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역대 '최장 지각' 기록을 갈아치운 22대 국회도
여기서 벗어날 수 없었던 셈입니다.
반면 국회 보좌진들이 맞이하는 추석 명절은
일반 직장인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추석 명절 기간에 쉬지 못하는 보좌진들이
유독 많다는 게 하나의 차이라면 차이로 보입니다.
많은 보좌진은
꽤 긴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 거의 매일 국회로
출근 도장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기 국회의 꽃'이라고 불리는 국정감사가
오는 10월 7일부터 열리기 때문입니다.
보좌진들은 9월 들어 '새로운 아이템'을 선보일
국감 준비를 위해 하루하루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일부 소수의 보좌진은
공식 상여금 외에 '영감님'이 챙겨주는 '추석 떡값'을
위로 삼기도 합니다.
일부 의원실에서는
직원들에게 따로 '떡값'을 챙겨주기도 했습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
https://v.daum.net/v/20240915165509262
"역대급 불황에 더는 못 버텨"...
건설업 폐업·부도 '속출'
박성환 기자 2024. 9. 15. 16:55
올해 건설사 22곳 부도... 4년 만에 최다
'악성 미분양' 증가세... 유동성 위기 고조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4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돼있다.
2024.06.24. kgb@newsis.com
주택 경기 침체와 건설 원자재가격 증가,
유동성 위기 등 악재가 겹치면서
건설경기 불황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자금난에 어려움을 겪고, 더는 버티지 못하면서
건설사들의 폐업과 부도가 잇따르는 등
건설업계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실제 올해 부도난 건설업체 수가 22곳에 달한다.
이는 2020년 이후 최다 수준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9월(7일 기준) 누적 기준 부도난 건설업체
(금융결제원이 공시하는 당좌거래 정지 건설업체로
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 말소된 업체 제외)는
모두 22곳이다.
이는 동기 기준(1~9월) 지난 2019년(42곳) 이후
가장 많은 수치이자,
지난해 전체 부도 업체(21곳) 수를 넘어선 것이다.
면허별로 부도 업체는 ▲종합 7곳 ▲전문 15곳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서울 1곳 ▲경기 2곳 ▲부산 5곳 ▲광주 2곳
▲울산 1곳 ▲강원 1곳 ▲충남 1곳 ▲전북 1곳 ▲전남 2곳
▲경북 2곳 ▲경남 2곳 ▲제주 1곳 등이다.
건설사 폐업도 증가했다.
올해 1~7월 누적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295건으로,
전년 동기(218건) 대비 35.32% 늘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는 1158건으로, 1270건 증가했다.
건설업계는 통계로 드러나지 않지만,
영업을 중단한 지방 소규모 건설사들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 원자재가격과 임금 인상 속에 기존에 계약했던
공사가 중단되거나, 공사 발주 자체가 줄면서
경영난이 심각한 상태"라며
"그래도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회사는 당좌거래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도가 나면 확인이 되지만,
규모가 작은 회사는 부도가 나더라도 확인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규 등록 면호가 감소했다.
올해 1~7월 누적 종합건설사 신규 등록은
지난해 같은 기간(624건)보다 56.08% 감소한 274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전문건설사 신규 등록은
지난해 1~7월 누적 2868건에서
올해 같은 기간 3101건으로 증가했다.
좀처럼 해소되지 않은 미분양 물량이
건설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 7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1822가구로,
8개월 만에 감소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6038가구로, 12개월째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7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1822가구로,
전월(7만4037가구) 대비 2215가구(3%) 감소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은
1만6038가구로, 전월(1만4856가구) 대비 1182호(8%)
증가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 중 80.2%(5만7833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수도권은 1만3989가구로,
전월(1만5051가구) 대비 1062가구(7.1%) 감소했다.
미분양물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1만187가구)와 대구(1만70가구) 등 순으로 집계됐다.
건설 경기 침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69.2로,
전월 대비 3.0%p(포인트) 하락했다.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건설기업이 체감하는 경기 수준을 지표화한 것으로,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낙관론이,
100 이하면 부정론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를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전월 대비 대기업 지수는 상승한 반면
중견과 중소기업 지수는 하락해 격차가 확대됐다"며
"서울과 지방 지수 모두 상승했지만 두 지수간 격차는 큰 상황"
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
https://v.daum.net/v/20240915145433812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추석을 앞두고 지난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반려견 써니, 새롬이(아래)와 함께
한가위 명절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尹 "반대한민국 세력" 발언, 배후는 뉴라이트? (18) | 2024.09.18 |
---|---|
"씨가 말랐다"... 달라진 한국 상황에 직격탄 (2) | 2024.09.17 |
'귀신 소리' 확성기에 고통 극심... (17) | 2024.09.14 |
"왜 생파 사진 공개해서 염장?".. (1) | 2024.09.10 |
JTBC에 협박조 성명... (11)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