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701185550491?d=y
무협 "반도체소재 대일 의존도 높지만 일본 기업도 큰 부담"
(세종=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입력 2019.07.01. 18:55
일본의 반도체 소재 등 수출규제와 관련,
우리 기업들의 수입 의존도가 꽤 높지만,
역으로 일본 기업들도 한국 반도체 업체들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제재가 길어질 경우 큰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1일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리지스트와 에칭가스
(반도체 제조용 소재), 플루오린폴리이미드(OLED 디스플레이용 재료) 등
총 3개 품목의 대일 수입 현황을 공개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무협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으로 리지스트, 에칭가스, 플루오드 폴리이미드에 대한
대일 수입의존도는 각각 91.9%, 43.9%, 93.7%이다.
반도체 주요 소재의 대일 수입의존도 [무협 제공]
에칭가스의 대일 수입의존도는
2010년 72.2%에서 2019년 1~5월 43.9%까지 낮아진 반면
리지스트(95.5%→91.9%)와 플루오린폴리이미드(97.7%→93.7%)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올해 1~4월 기준 일본의 리지스트, 에칭가스, 플루오드폴리이미드의
대(對)한국 수출비중(엔화 기준)은 각각 11.6%, 85.9%, 22.5%이다.
이에 비해 올해 1분기 기준 한국 반도체 기업의 세계 생산설비 점유율과 관련,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세계 D램과 낸드 생산 설비의 각각 64%, 43%를 차지한다.
무협 김건우 연구원은
"반도체 설비 시장을 한국 기업들이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어서
일본의 수출규제가 길어질수록 우리 기업에 수출하는 일본 기업들도
상당한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산업 구조"라고 설명했다.
관련 태그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딛는 걸음마다 '사상 처음'.. 최초 타이틀 다량 보유 (0) | 2019.07.02 |
---|---|
산업부 "日수출규제 대비, 반도체소재 국산화 추진해왔다" (0) | 2019.07.02 |
역사책에 실릴 사진.."남북미 정상 사상 첫 회동" (0) | 2019.07.01 |
'방탄조끼'도 안 입은 트럼프.. 3국 경호원 뒤섞여 (0) | 2019.07.01 |
푸틴 지각에.. '약속 지킨' 문 대통령 비난한 한국당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