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624205708118?d=y
프랜차이즈 믿고 계약했는데 매달 '적자'.. 하루 70곳 폐업
정경윤 기자 입력 2019.06.24. 20:57 수정 2019.06.24. 22:19
<앵커>
프랜차이즈 가게를 하면
비교적 안정적으로 장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보신 것처럼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
하루 평균 70곳 넘는 가맹점이 문을 닫을 정도입니다.
그럼 가맹 계약을 맺기 전에 어떤 것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하는지
정경윤 기자가 짚어드립니다.
<기자>
김 모 씨는 중개인을 통해 프랜차이즈 업체를 소개받았습니다.
[김 모 씨/가맹점주 :
먹어보니 맛이 괜찮았고 신문에도 많이 나오고…
(중개인이) 너무 좋은 물건 소개해줘서 3천만 원 받아야 한다고 해서
계약금과 별도로 (소개비도) 지불했죠.]
하지만, 매달 적자가 쌓였고 2년도 안 돼 폐업했습니다.
[김 모 씨/가맹점주 :
매출은 한 달에 1천만 원밖에 안 나오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1천 8백만 원인 거죠.
(아버지의) 은퇴 자금 투자해서 전부 다 날리게 된 상태고...]
정작 중요한
매장 관리와 같은 영업 노하우는 본사로부터 배울 수 없었습니다.
본사 직원들이 퇴사하면서 창업 교육조차 제대로 못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양 모 씨/가맹점주 :
(교육 담당) 팀장이 또 퇴사하게 된 거예요.
'그럼 우리 어떻게 장사하냐, 봐줘라' 그랬더니
'개별적으로 30만 원을 더 주면 하루 반나절 나와서
봐주겠다'라고 하더라고요.]
가맹사업법에 따라
본사는 계약 체결 2주 전까지 본사 직원 수와 가맹점 매출액 등이 담긴
정보공개서를 제공해야 합니다.
하지만 가맹점주들은 정보공개서가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종열/가맹거래사 :
(정보공개서에서) 본사 매출액 추이하고 가맹점주 연평균 매출액 추이를
보시면 전체적으로 이 브랜드가 건강한지, 안 건강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맹점 모집 방식은
온라인 광고가 57%로 가장 많았고 지인 소개가 21%였습니다.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공정한 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본사의 정보 공개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가맹점주들에게도 실질적인
창업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이승열, VJ : 정영삼)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파 독재' 빼니 연일 헛발질 황교안, 원인은 철학 부재? (0) | 2019.06.27 |
---|---|
'사학비리' 칼 빼든 정부.. 사립대 16곳 사상 첫 종합감사 (0) | 2019.06.25 |
"음료수 2병 마시고 하루 878건 배달".. 인력 충원은 언제? (0) | 2019.06.25 |
25일부턴 '한 잔'도 음주단속 걸린다.. 최대 '무기징역' (0) | 2019.06.24 |
"靑 안보실부터 조사한다".. '부실 브리핑'에 책임 (0) |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