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

'금강송' 말고.. "황장목으로 불러주세요"

기산(箕山) 2019. 5. 19. 01:12

https://news.v.daum.net/v/20190518203304100?f=p


'금강송' 말고.. "황장목으로 불러주세요"


                                                                                             황구선 입력 2019.05.18. 20:33 수정 2019.05.18. 20:48




[뉴스데스크]


◀ 앵커 ▶


조선시대 왕의 관을 짤 때 쓰던 우리나라 최고 품질의 소나무,

황장목인데요.


금강송이라는 일제시대의 명칭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황장목의 이름을 제대로 알리기 위한 행사가 원주에서 열렸습니다.


황구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줄기를 뻗어 하늘을 향한 소나무들이 산책로 주위로

펼쳐져 있습니다.


두꺼운 껍질과 단단한 재질에다,

속살이 누렇다고 하여 '황장목'으로 불립니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조선 시대 임금의 관을 짤 때 쓰던 최고 품질의 소나무들입니다.


'금강송'이란 명칭이 더 알려졌는데

이는 일제시대 때 황장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김희복/문화관광해설사]

"금강송이라는 말은 일제에 의해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일제의 잔재이기 때문에 여러분들 절대 쓰시면 안 되고…"


왕의 나무,

황장목을 널리 알리기 위한 걷기축제가 치악산국립공원에서

열렸습니다.


비가 오고 바람이 세차게 부는 궂은 날씨에 시민 천여 명이 참여해

황장목의 유래를 알아 갑니다.


[허경남/강원 원주시 명륜동]

"똑같은 나무가 이름이 달리 불리는 걸 몰랐거든요.

여기 와서 새로 알게 되어서…"


조선 시대에는

황장목이 자라는 강원과 경북 등 전국 60곳 산의 입산을 통제하고

'황장금표'라는 경고문을 표시해 주민들의 벌채를 엄격히 금지했는데,

치악산은 유일하게 황장금표가 세 군데나 있는 특별한 황장목 서식지

였습니다.


[김대중/황장목숲길걷기 추진위원장]

"그만큼 가치가 높기 때문에 앞으로 황장목 숲길을 전국적인,

나아가서 세계적인 브랜드길로 (만들겠습니다.)"


황장목의 정확한 유래를 알리기 위한 치악산 황장목 숲길 걷기축제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3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황구선입니다.

(영상취재: 임명규(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