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80902170532098?d=y
"文지지율 마지노선 40%.. 무너지면 당도 등돌린다"
권호 입력 2018.09.02. 17:05 수정 2018.09.02. 18:25
대통령 지지율은 필연적으로 떨어지지만, "속도가 문제"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8~30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31일 발표한 결과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전주보다 3%포인트 떨어진 53%로 취임 후 가장 낮았다.
부정평가는 5%포인트 올라 취임 후 최고치인 38%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방선거가 있던 6월 둘째 주 79%를 기록한 뒤 내리막 추세다.
한때 73%포인트(5월 첫째 주)까지 벌어졌던
긍정 평가(83%)와 부정 평가(10%)의 차이가 15%포인트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임기 초 높은 비율을 기록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는 건
미국도 마찬가지다.
이를 학계에선 '필연적 하락의 법칙(the law of inevitable decline)'이라 부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아주대 문우진(정치학) 교수가 2012년 정치학회보에 게재한
「대통령 지지도 필연적 하락의 법칙 - 누가 왜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바꾸는가」
논문에는 이와 관련한 분석이 나온다.
선거 과정에서 후보자의 이념성은 숨긴 채 도덕성·능력을 최대치로 분출 →
유권자의 기대감이 커지고 성향이 다른 지지자도 가세 →
취임 직후 ‘'두를 위한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에 지지율 최고조 →
시간이 지나면서 불만족스러운 정책 결과 노출 →
모두를 만족하게 하는 정책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대통령도 인지 →
실망감이 쌓이며 지지율 급락의 패턴을 반복한다는 설명이다.
문 교수는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선거 승리를 위한 전략의 필연적 결과"라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낙연 국무총리가 1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정부부처 장관,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190여명이 모인 '당.정.청 전원회의'가 열린 청와대 영빈관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의 경우 집권한 지 이제 15개월 지났다.
집권 2년 차는 정권에 대한 기대감이 아직 남아있는 시기로,
조금 더 지켜보자는 심리가 강하다.
문 대통령을 향한 50%대 지지율은 과거 정부와 비교해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다.
다만 지지를 철회하는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는 게 문제다.
단국대 가상준(정치학) 교수는
"노무현 정부 때 수도권의 지지율이 높지 않았는데,
이는 경기에 민감한 자영업자가 등을 돌렸기 때문"이라며
"지금은 그때보다 자영업자가 더 늘어난 데다,
이들이 경기 불황에도 민감해 지지율 하락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권이 지켜야 할 지지율 마지노선을 40%로 본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지지율 40%는 부정적 평가가 더 많다는 의미로,
이 선이 무너지면 당에서도 거리를 두기 시작한다"며
"25%가 되면 사실상 대통령의 리더십이 사라지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집권 3년 차인 2015년 초반에 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율'이라 불리던
40%가 붕괴하면서 1차 치명상을 입었고,
이듬해 총선에서 민주당에 원내 제1당의 자리를 내줬다.
가 교수는
"41%의 득표로 당선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80%까지 갔던 건
그만큼 기대가 컸다는 의미"라며
"득표율에 준하는 40%대의 지지율은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야 4당, 김성태 연설에 "품격없다".. 한국당 "민심의 목소리" (0) | 2018.09.06 |
---|---|
380m 거리 '폐업정리'만 19곳.. "월세 100만원 낮춰도 안와" (0) | 2018.09.04 |
文대통령 2기 내각 키워드는.. 여성·관료·이석수 귀환 (0) | 2018.08.31 |
"환영인파인 줄 알고 구속자 가족에 손 내민 전두환" (0) | 2018.08.28 |
휴대전화 종량제 봉투에 버리고 송곳으로 찍고.. '사법농단 증거인멸' 도 넘은 판사들 (0) | 2018.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