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코니 유리' 단열 효과, 직접 실험해보니…
SBS2012.01.07 21:39 수정 2012.01.07 21:39
하대석 입력<8뉴스>
<앵커>
요즘은 발코니를 거실로 확장한 아파트가 많습니다. 공간이 넓어 좋지만,
요즘 같은 한파 속에선 외풍때문에 더 춥게 느껴지죠. 게다가 난방비도 더 많이 듭니다.
이런 때, 유리만 바꿔도 단열효과가 높아질 수 있는데,
하대석 기자가 실험해봤습니다.
<기자>
난방을 해도 늘 춥다는 이 아파트.
열화상 카메라로 살펴봤습니다.
거실로 확장한 발코니의 유리창 주변이 파랗습니다.
열손실이 발생하는 겁니다.
[윤길천/서울 노원구청 에너지 컨설턴트 :
유리 온도가 최하 12도까지 떨어지거든요, 보시면.
유리가 자체적으로 보온이 안 된다고 보시면 돼요.]
[노신수/서울 노원구 :
유리가 그렇게 차가울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고요.
유리에서 저렇게 열 전도가 잘 될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대표적인 단열 유리로는 유리 사이를 진공 처리한 진공유리,
유리가 세 겹인 삼중유리, 은막을 코팅한 로이유리 등 세 가지가 있습니다.
바깥 기온을 0도, 내부를 영상 20도로 맞췄더니
일반유리의 내부 표면 온도는 12.8도까지 떨어졌습니다.
이에 비해 로이유리는 15.5도, 삼중유리는 16.4도, 진공유리는 18.4도를 기록해,
단열 유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번엔 바깥 기온을 영하 9도로 낮춰봤습니다.
일반 유리는 10.5도까지 떨어졌지만 진공유리는 18도에 머물러
바깥 기온이 낮을수록 단열유리의 효과는 컸습니다.
단열 효과는 난방비 격차로 이어집니다.
전용면적 85㎡ 아파트의 경우, 일반유리를 쓰면 한 달 난방비가 18만 원 정도 들지만
단열 유리로 바꾸면 8에서 10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강재식/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단열 유리는)주택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의 상당부분을 막을 수 있고,
결국 난방 에너지의 최대 50%까지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이 됩니다.]
난방비 절감으로 단열유리 시공비를 회수하려면
로이유리는 3년 걸리고 삼중유리 7년, 진공유리는 10년이 걸립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 박대영, 영상편집 : 박정삼, VJ : 정민구)
하대석hadae98@naver.com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0) | 2012.01.25 |
---|---|
[집중취재] 두라3호 유증기 때문? 폭발 위력은 (0) | 2012.01.17 |
日 차세대 전투기 F35 사실상 확정… 동북아지역 공군력 경쟁 본격 점화 (0) | 2011.12.14 |
오늘 놓치면 후회, 7년 기다려야하는 우주쇼 (0) | 2011.12.11 |
내년부터 김 먹을 때 로열티 낸다? (0) | 201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