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없는 우리에게 뒤집어씌우려해"… 일선 경찰들 '불만 표출'
https://v.daum.net/v/20221102123935014
"힘없는 우리에게 뒤집어씌우려해"…
일선 경찰들 '불만 표출'
김동규 김정현 입력 2022. 11. 2. 12:39수정 2022. 11. 2. 14:17
"지원 안해주고 지역 경찰만 비판… 윗선은 뭐했나"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156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에서 경찰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는
윤희근 경찰청장의 발언에 일선 경찰관들이 반발하고 있다.
윤 청장은 1일 국회에 출석해
"사고 당일 오후 6시34분쯤부터
현장의 위험성과 급박성을 알리는
112신고가 11건 접수됐으나
사고 예방 및 조치가 미흡한 것을 확인했다"며
초동 대응 문제를 인정했다.
그러나 일부 일선 경찰관들은
이 발언이 치안 현실을 도외시한 것이라며
수긍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112 접수 시스템을 너무 단편적으로 해석한데다
경찰력 배치와 현장 운용은
서울경찰청 등 윗선에서 결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서울 일선경찰서의 한 경찰관은
"비슷한 시간대에 같은 내용의 112신고가 들어오면
몇 건을 묶어 '동일건'으로 분류해 한꺼번에 처리한다"며
"신고가 들어오면 출동하는 게 원칙이지만
동일건으로 몇 개를 묶어 출동하면 한 건만 출동한 것이 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참사 당시 현장과 가장 가까운 이태원 파출소는
인파 때문에 순찰차 출동이 힘들었을 것"이라며
"파출소 직원이 팀당 12명 정도인데
그 인력으로 현장 대처가 미흡했다고 비판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지방 경찰청의 한 간부급 경찰관은
"이태원상인회 같은 곳이
경찰과 용산구에 질서 유지를 적극 요청하고
그것을 근거로 대책을 세웠어야 했다"면서도
"질서유지를 위해서는 경찰력이 훨씬 더 많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서울 경찰서의 한 경찰관도
"이태원, 홍대, 강남역 등 핫플레이스의 대응책을 세울 때
질서 유지보다 폭력, 마약 등 강력사건을 우선시한다"며
"어떤 임무로 얼마나 많은 경찰을 배치하는지는
현장 근무자가 아니라 윗선이 판단한다"고 말했다.
경찰 내부망에도 윤 청장을 비판하는 글이 올라왔다.
전날 오후
이태원파출소 소속 직원이라 밝힌 한 경찰관은
"어떤 근거로 112 신고 대응이 미흡했다고 발언했느냐"고
윤 청장에게 묻는 글을 올렸다.
해당 경찰관은
"인파로 압사가 우려된다는 112신고는
매해 지구촌축제, 핼러윈, 크리스마스 시기마다 있었다"면서
"용산경찰서가 서울경찰청에 (핼러윈 축제에 대비해)
기동대 지원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지적했다.
이 경찰관은
당시 이태원파출소 직원들은 비번임에도
오후 11시부터 모두 출근했으며
용산경찰서 교통과 직원들도 현장 곳곳에서 인파를 통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 경찰관은
"왜 모든 책임을 힘없고 불쌍한 지역경찰관들에게
뒤집어씌우려고 하는지 너무 슬프고 분하다"고 말했다.
dkim@news1.kr
https://v.daum.net/v/20221102143803027
‘코드0’ 지령에도 안움직인 경찰…‘사각지대’ 지원 안해놓고 현장 탓?
(시사저널=박나영 기자) 이태원 참사 당시 112 신고에 따른 대응 체계상 최단 시간 내 출동하라는 '코드 0' 지령이 내려졌지만 경찰이 상황을 안이하게 판단한 것으로 드러났다. 윤희근 경찰청장
v.daum.net
https://v.daum.net/v/20221102110901231
이태원 참사 책임 침묵 깨고 잇따라 경찰 때리는 정부ㆍ여당
-尹대통령, "법과 원칙 따라 엄정 처리" -한덕수 총리, 경찰 대응 관련 수사ㆍ감찰 언급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책임추궁 불가피"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 "국가 책임 인정..지위고하 막론"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