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흑해 수출협력 중단에 세계 곡물값 상승… 식량위기 우려 재연
https://v.daum.net/v/20221031134024792
러 흑해 수출협력 중단에 세계 곡물값 상승…
식량위기 우려 재연
이도연 입력 2022. 10. 31. 13:40 수정 2022. 10. 31. 16:48
흑해 통한 우크라 곡물 수출(CG) [연합뉴스TV 제공]
러시아가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참여 중단을 선언하면서
31일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국시간 이날 오후 1시 8분 현재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연질 적색 겨울 밀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5.73% 뛰어올랐다.
옥수수 선물 가격은 2.28%,
대두유는 2.27% 각각 상승했다.
[그래픽] 국제 곡물 가격 상승률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러시아는 지난 29일
크림반도에 주둔한 자국 흑해함대를
우크라이나군이 드론으로 공격했다는 이유로
흑해를 통한 곡물 수송 협정 참여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 7월 22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전쟁 개시 이후 봉쇄된 흑해 항로의 안전을 보장하고,
안전 통로를 통해 양국의 곡물과 비료를 수출하도록 하는 데
합의했다.
이 협정으로
우크라이나가 흑해 3개 항구를 통해 밀 등 농산물 수출을
재개하면서 수출량이 전쟁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했고
세계 곡물 가격도 다소 안정됐다.
이 협정 기한은 11월 19일까지이며
이후 연장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러시아가 전격적으로 이행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의 자국 흑해함대 공격을 이유로 들었지만,
서방은 최근 우크라이나전에서 고전하는 러시아가
'식량 무기화' 카드를 다시 꺼내 든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번 러시아의 수출 협력 중단으로
전 세계 물가 상승이 더 가팔라지고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흑해 지역은
전 세계 밀과 보리 수출량의 4분의 1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옥수수는 5분의 1, 해바라기씨유는 대부분의 수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농업·에너지 컨설팅기업 헤지포인트 글로벌 마켓의
크리스 트랜트 미국 농업 책임자는
흑해 곡물 수출 협정이 조기 종료되면 이를 통한
곡물 수출의 감소뿐 아니라 비료 수출로도 막힌다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또 협정 중단 시
우크라이나 농민들이 재배한 밀과 옥수수를 저장할 공간도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마이클 맥도비츠 런던 라보뱅크 선임 애널리스트도
수출길이 막히면 우크라이나 농민들이 팔 수가 없는
농작물 파종을 거부할 우려가 크며,
단기간 핵심 식량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전 세계 곡물 가격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갈수록 이해되지 않는 서양사람들!
밀수출을 꼭 흑해를 통해서만 해야할 필요가 있을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둘러싸여 사방이 막흰 나라가 아님에도
수출 못하는 탓을 러시아에게만 돌리려하는가?
EU결성으로 거미줄같은 기차선로를 이용하면 어디라도 갈수있지않나?
곡물수출을 못하는건지 안하려는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라도 먹을수밖에 없음에도
다른 대체수단이 있어 객기를 부리는것은 아닐까?
---------------------------------------------------------------------------
https://v.daum.net/v/20221103192212351
러 복귀 후 흑해 곡물 협정 이행 재개…외교 공방은 지속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러시아가 흑해 곡물 협정에 복귀한 이튿날인 3일(현지시간)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이 재개됐다고 로이터, dpa 통신 등이 보도했다. 훌루시 아카
v.daum.net
https://v.daum.net/v/20221103182636457
EU, 러 곡물 수출협정 복귀에 "세계 식량위기 해결에 매우 중요"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은 3일(현지시간) 러시아가 흑해 곡물 수출 협정에 복귀하기로 한 것과 관련, "곡물 수출은 러시아에 의해 악화한 글로벌 식량 위기를 해결하는 데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