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관

홍콩 시위서 울린 '임을 위한 행진곡'.. 어떻게 전파됐나

기산(箕山) 2019. 6. 18. 03:55

https://news.v.daum.net/v/20190617210623862?d=y


홍콩 시위서 울린 '임을 위한 행진곡'.. 어떻게 전파됐나


                                                                                                                            권근영 입력 2019.06.17. 21:06




[앵커]


지금 듣고 계신 노래 홍콩에서 울려퍼진 노래입니다.


우리 민주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불렸던 이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은 몇년 전까지만 해도 5·18 기념식에서

제창이냐, 합창이냐를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었죠.


그런데 멀리 홍콩 시민들은 되려 한 마음으로 불렀습니다.

그들이 이 노래를 어떻게 알았을까요.


권근영 기자가 그 의미를 짚어드립니다.


[기자]


홍콩 차터가든에서 열린 어머니 집회에서는 귀에 익은 멜로디가

들렸습니다.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한 여성은 한국의 광주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노래라고 소개했습니다.


[영화 세 편 '변호인' '택시운전사' '1987'을 보신 적 있다면

지금 우리가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지 잘 알 것입니다.]


노래는 37년 전 홍콩으로 전해졌습니다.


1982년 가을,

서울에 온 홍콩의 대학생이 YMCA 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이 노래를 처음 접했습니다.


이후 종교와 노동계의 국제 교류가 이어지면서

대만과 캄보디아, 태국에까지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는 농민운동가로 사랑받았습니다.

가락은 하나지만 노래 제목도 또 노랫말도 조금씩 다릅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에서 희생된 젊은 연인을 기리기 위해

1982년 봄 만들어졌습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노래를 찾는 사람들 :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역사와 함께

노래는 조금씩 분위기를 바꾸며 전국에 알려졌고, 영화와 영상을

통해 다른 나라에까지 전해졌습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전인권 :

세월은 흘러가도]


'시민의 힘'을 보여주는 현장이라면 어디나 함께 했던 노래는

언어도, 역사도 다른 한국과 홍콩을 이어주고 있습니다.



(화면제공 : 한겨레·유튜브 MrSolongman·limuiu027·이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