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관

중국 "제철소 먼지 확 줄일 것".. 한반도 부근지역은 빠져

기산(箕山) 2019. 5. 9. 00:45

https://news.v.daum.net/v/20190507213219320?f=p


중국 "제철소 먼지 확 줄일 것".. 한반도 부근지역은 빠져


                                                                                                                            신경진 입력 2019.05.07. 21:32




[앵커]


중국에서는 최근 몇년 사이에 제철소가 석탄화력발전소를 제치고

미세먼지의 최대 배출원이 됐습니다.


중국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그러니까 6년 뒤죠,

그때까지 제철소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최대 81%까지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베이징 등 수도권 일원과 상하이 등 대도시 지역에 집중된 정책입니다.

다만,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는 산둥성과 동북지역은 빠졌습니다.


베이징 신경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베이징과 인접한 탕산시 제철소 공단입니다.

끊임없이 연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철강 생산량의 절반이 넘는 9억2830만t을 생산했습니다.


허커빈 칭화대 환경대학 학장은

2017년 철강산업에서 281만t의 미세먼지를 배출해 중국 전체의 20%를

차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제철소가 최대 오염원으로 부상한 것입니다.

중국 생태환경부 등 5개 부처가 '강철산업 초저배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미세먼지는

세제곱미터당 10㎍, 이산화황 35㎍, 질소산화물 50㎍으로 배출량을

지정했습니다.


기존보다 최대 6배 강화했습니다.

베이징-톈진-허베이 징진지와 양쯔강 하류 제철 산업단지가 주 대상입니다.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면 2025년 미세먼지는 최대 81% 줄어든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배출 시설 현대화 작업까지 포함하는 이번 조치에 산둥성과 동북 3성 등은

제외됐습니다.


중국의 이번 정책은 수도권과 상하이 등 경제거점 지역에 집중됐습니다.

한반도 인접 지역의 제철소는 세제나 재정 지원에서 배제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영상디자인 : 최수진)